팀블라인드 - 개발자 인터뷰 팀블라인드의 채용 홈페이지입니다. 팀블라인드의 현재 채용중인 포지션을 확인해 보세요

팀블라인드 - 개발자 인터뷰

팀블라인드의 채용 홈페이지입니다. 팀블라인드의 현재 채용중인 포지션을 확인해 보세요

제목없음

제목없음

2022 팀블라인드 개발자 인터뷰 🧑‍💻

팀 소개 - 3

들어가기 전에

더 나은 직장, 더 나은 삶 Better work, Better life! 팀블라인드는 ‘직장에서의 행복이 삶의 행복으로 연결된다’라고 믿습니다. 전 세계 더 많은 직장인들이 더 행복한 직장에서, 더 좋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면서 더 큰 가치를 느끼고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플랫폼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서비스는 개발팀의 밑바탕이 충분해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팀블라인드는 이 점을 잘 이해하고 개발팀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하고 있으며 함께 성장하고자 합니다.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팀블라인드에서 개발자로서 일을 한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요? 현재 팀블라인드의 본사에서 재직 중인, 실리콘 밸리 개발 경력 9년 차인 Kenneth님의 인터뷰를 통해 팀블라인드에 지원하게 된 계기, 실제 근무 환경 및 문화, 개발하며 배운 점 등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Q. 팀블라인드의 개발자로서 어떤 일을 하시는지 소개 부탁 드립니다.

I’m a Senior Software Engineer that’s been working at Team Blind. I was the first engineering hire for the US engineering team, and helped form some of the foundations for the US engineering team. 안녕하세요! 저는 팀블라인드에서 근무하고 있는 시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자 케네스라고 합니다. 미국 개발팀에 최초 개발팀원로 채용된 후, 미국 개발팀의 기반을 닦는 작업을 지원해왔습니다. I am the scrum master for the team and work very closely with the PM to define requirements, prioritize projects, and create engineering tasks – so each sprint goes smoothly. 저는 팀에서 스크럼 마스터를 맡아 매 스프린트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기획자와 함께 긴밀히 협업하며 스펙을 정의하고, 프로젝트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개발 과제를 생성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In the US Engineering team, every engineer does fullstack development, meaning that we all must be proficient in both the backend and the frontend. In addition, engineers must be willing to work in a global team, and should love working closely with other teams – product, design, QA, business. 미국 개발 팀에 소속된 모든 개발자는 풀스택 개발을 하기 때문에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모두 가능해야 합니다. 또한 하나의 글로벌 팀으로서 일할 수 있어야 하고, 기획, 디자인, QA, 사업부 등 타 팀과도 적극적으로 협업해야 합니다.

Q. 어떤 계기로 개발자의 길을 걷게 되었나요? 그리고 간단히 커리어 소개 부탁 드립니다.

I’m an engineer with nine years of experience. Before joining TeamBlind, I worked for a fin-tech startup called NepFin that eventually got acquired by Zilch – a large banking company primarily used in Europe. At NepFin, I lead the development of a data aggregation, querying, and analytics product that focuses on financial institutions and business contacts. Previously, I also spent many years of my career working as a freelance web developer. During that time, I gained a lot of very valuable experience working with a variety of clients, and learned to wear many hats to get the job done well. 개발 경력은 9년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팀블라인드에 입사하기 전엔 넵핀(NepFin)이라고 하는 핀테크 스타트업에 근무했었는데요, 이 회사는 나중에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형 뱅킹사 질치(Zilch)에 인수됐습니다. 넵핀에선 주로 금융기관 및 사업거래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집산, 쿼리 작성, 분석 상품 개발을 리드했습니다. 넵핀 전에는 프리랜서 웹 개발자로 수년간 커리어를 쌓아왔습니다. 그 기간 동안 다양한 고객을 접하며 정말 의미 있는 경험을 많이 쌓아왔고, 또 업무를 잘 해내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The original inspiration for why I learned programming is because I wanted to create my own video games. From a very young age, I self-studied programming and computer science concepts with that goal in mind. During high school, I released several mobile apps, such as World’s Hardest Platformer. After releasing the game, I realized that having a website landing page for the game would be great for marketing purposes, so I then dipped my toes into website development. From there on, I fell in love with developing and designing websites, and that was the very start of my engineering journey. From there, I started focusing more and more time on creating better and more complex websites and web apps. 개발자의 길을 걷게 된 계기는 직접 비디오 게임을 만들어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이 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래밍과 컴퓨터 공학 개념을 독학했습니다. 고등학생 때 World’s Hardest Platformer를 포함해 모바일 앱 몇 개를 출시했습니다. 이 게임을 출시한 후, 웹사이트 랜딩 페이지를 만들면 게임 마케팅에 효과적일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웹 개발에도 발을 담그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 웹 개발과 설계가 너무 재밌게 느껴지면서 개발과 사랑에 빠지게 되었고, 이때가 개발 커리어 여정이 시작된 순간입니다. 이때부터 좀 더 복잡하고 개선된 웹사이트, 웹앱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쏟기 시작했습니다.

Q. 팀블라인드에 입사하신 동기는 어떤 것이었나요? 혹시 팀블라인드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었나요?

I had heard about TeamBlind previously as it has a pretty large presence in the tech industry. I liked that there were honest conversations happening on the platform, and it helped to demystify salaries. 팀블라인드가 IT 업계 내에서 꽤 영향력 있는 커뮤니티였기에 이미 입사 전에 들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블라인드에서 진솔한 대화가 오가고, 그러면서 연봉 정보도 얻을 수 있어서 좋아했습니다. During my interview process, I had the chance to talk with several of the leaders and higher-ups at TeamBlind and they talked to me about TeamBlind’s mission for workplace transparency. Those conversations really resonated with me and was a huge factor in me deciding to join. 면접 과정에서 팀블라인드의 리더, 임원들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그 때 직장 문화의 투명성을 향한 팀블라인드의 미션에 대해 들었습니다. 크게 공감 되는 내용이었고, 입사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됐습니다.

Q. 팀블라인드에 입사 하신 후 어떤 인상을 받으셨는지 궁금합니다.

I was surprised at how fun and relaxed the culture was. On the outside, TeamBlind can seem very competitive and money-focused, but the internal culture was the opposite of that. It was a relaxed environment with a lot of joking around, while also getting good work done. The value of workplace transparency is also exemplified by the company itself, with leaders giving very clear overviews of what happens weekly during the standups. 조직 문화가 재밌고 편안해서 놀랐습니다. 밖에서 보면 팀블라인드가 굉장히 경쟁적이고 연봉만 얘기하는 곳으로 보일 수 있지만, 내부 문화는 정반대입니다. 굉장히 편안한 환경에서 서로 자주 농담도 하고, 그 와중에 모두가 맡은 바 업무를 잘 해내는 건 물론입니다. 일주일에 한번 미국 팀 직원들이 모두 모이는 스탠드업 미팅에서 한 주간 어떤 일이 있었는지 리더들이 명확하게 설명하는 등, 투명한 직장 문화의 가치를 회사가 몸소 실천하고 있습니다.

Q. 팀블라인드의 근무 환경에 대해 알려주세요.

TeamBlind is fully remote so we all work from home. There are bi-annual offsites where we all meet up in person, and there are also occasional virtual events. We recently had a wine tasting virtual event where everyone was shipped a couple bottles of rosé wine, and invited an expert into a call with us to explain the intricacies and differences between each bottle. 팀블라인드는 전사 재택 중이어서 모두가 재택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 팀의 경우 연 2회 오프사이트를 통해 동료를 직접 만날 기회가 있고, 종종 비대면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최근엔 회사에서 모든 미국 팀원들에게 로제 와인을 몇 병 보내준 뒤 화상 미팅으로 전문가를 초빙해 각 와인의 특징과 차이점을 들어보며 마시는 비대면 와인 테이스팅 이벤트도 있었습니다.

The work schedule is quite flexible, with each person choosing their own working hours. There is also a flexible vacation policy too, and employees are often encouraged to take time off to not burn out. 미국 팀의 업무 스케줄은 각자 본인이 편한 근무시간을 선택하기 때문에 유연한 편입니다. 휴가 규정도 유연한 편이어서 누구든지 번아웃이 오지 않게끔 자유롭게 휴가를 쓰고 재충전하도록 회사에서 권유합니다. 한국 팀:10 또는 11시 시차출퇴근제, 최대 20일의 넉넉한 휴가(1년 만근 시 하루씩 증가, 25일 한도)와 매 3년 만근 시, 현금형 or 휴가형 보상을 제공

Q. 업무 과정과 팀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부탁 드리고, 팀블라인드에서 일하시면서 배운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The teams in the US follow an agile process with a two week sprint. We submit features and code with Pull Requests, which allows other engineers to code review. Our CI/CD platform also runs its operations onto the PR, checking if the build can build successfully, and if it passes all unit tests. Before we release to production, we also work closely with the QA team to make sure that all requirements are met, and no bugs are introduced. The QA team also has an automated test suite that is run against the branch. 미국 팀은 2주 스프린트 단위로 애자일 프로세스를 따르고 있습니다. 피쳐와 코드를 PR(풀리퀘)로 보내 다른 개발자가 코드 리뷰를 할 수 있습니다. 저희 CI/CD 플랫폼도 PR로 운영되고 있어서 빌드가 제대로 빌드될 수 있는지, 유닛테스트를 다 통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환경 배포 전까지 QA팀과도 긴밀하게 협업하면서 모든 스펙을 다 구현했는지, 버그는 없는지 확인합니다. QA팀도 별도 브랜치에서 자동화 테스트 케이스들을 돌립니다. The US Engineering team consists mostly of senior-level engineer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Overall it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everyone has their own unique perspective to share. Our tech stack consists of Vue and React for frontend, NestJS and Express for the backend. ElasticSearch and MySQL for database. 미국 개발팀은 다양한 경험을 가지신 시니어 레벨 개발자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전체적으로 각자의 특별한 관점을 공유하는 환경이 구성됩니다. 저희 기술 스택은 프론트는 Vue/React, 백엔드는 NestJS/Express, 데이터베이스는 ElasticSearch/MySQ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ne of the ways that I grew while at TeamBlind is that it was my first time acting as scrum master. I got to experience a lot of the In terms of technical skill, it was my first time working with ElasticSearch, which I actually quite like a lot now. I went from a pure beginner to writing ElasticSearch internal documentation and helping others with it. 팀블라인드에서 제가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기회 중 하나는 처음으로 스크럼 마스터 역할을 담당한 것입니다. 또한 다양한 기술 스킬을 접해 볼 경험을 누릴 수 있었고, 특히 ElasticSearch는 처음 써보았는데 지금은 많이 좋아하게 됐습니다. 초보자 단계에서 이제는 ElasticSearch 내부 문서를 작성하고, 다른 분들을 도와드릴 수 있는 단계까지 올라왔습니다.

Q. 팀블라인드만의 장점과 개발 문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I enjoy working at TeamBlind a lot. I love the team that I am in, and I feel like I am surrounded by competent and hard workers. It feels like there is not a lot of bureaucracy, and things that do need to get done are able to get done fast without friction. 팀블라인드에 다니는 게 재밌고 만족스럽습니다. 제가 속한 팀을 사랑하고, 능력 있고 열심히 일하시는 분들에게 둘러싸여 있다고 느낍니다. 불필요한 관료주의가 거의 없고, 진행되어야 하는 일은 마찰 없이 빠르게 실행됩니다. The engineering culture is great too. There is a high appreciation for clean and elegant code. Engineers are also encouraged to innovate and try out new technology. New technologies are easily introduced given that research is done on them and we know that it will improve the codebase (examples: Vue Composition API, React, NestJS, Sentry). We also have a New Technology Radar page where we can share our insights on new technologies with each other. 개발 문화도 너무 좋습니다. 깨끗하고 예쁘게 짠 코드는 모두가 고마워하고 칭찬하는 문화입니다. 개발자들은 혁신하고, 새로운 기술을 시도하도록 독려됩니다. 충분히 사전 리서치를 했고, 코드베이스가 개선되기만 한다면 새로운 기술을 거리낌 없이 도입합니다 (ex: Vue Composition API, React, NestJS, Sentry). 또한 New Technology Radar 페이지도 있어서 서로 새 기술에 대한 생각과 견해를 나누곤 합니다. A great experience about working at TeamBlind is that there is a high focus on creating distributed scalable solutions that solves for the ton of traffic that TeamBlind has. 팀블라인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장점 중 하나는 블라인드로 들어오는 엄청난 양의 트래픽을 해결할 분산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만드는 데 가장 중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Q. 어떤 개발자 분들이 팀블라인드에 합류하면 즐겁게 일 할 수 있을까요?

Engineers that care deeply about the product. People that can wear many hats, and do well in cross-function roles. Independant, and good time management. There is not micromanagement. Able to set meetings with others to discuss/improve things. Competent, yet humble and caring for others too. 프로덕트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 개발자 여러 역할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고, 크로스펑셔널 역할도 문제 없이 수행하는 사람 독립적이고, 시간 관리를 잘하는 사람 (팀블라인드에는 상위자가 참견하고 간섭하는 “마이크로 매니지먼트”가 없습니다.) 무언가에 대해 토의하고, 개선하기 위해 동료들과 적극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사람 겸손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일잘러

Q. 마지막으로, 팀블라인드 개발자로서 한마디와 개발자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My goal as a TeamBlind engineer is to continue to help the Insights product succeed in whatever way that I can help – working closely with PMs to set reasonable requirements, giving my input on design, and ship out production code in a timely manner. I have a lot of experience in the frontend and love sharing my knowledge with other engineers. 팀블라인드 개발자로서 저의 목표는 기획자와 함께 합리적으로 스펙을 정하고, 디자인에 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시간에 맞게 production 코드를 작성하는 등, 최선을 다해 서비스하는 상품이 성공적일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는 것입니다. 제가 프론트엔드 경험이 많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 분들께 제 지식도 공유 드리고 싶습니다. I try to always read about new technologies, and to have an open mind on what the “best” way to do things are. The industry changes very fast, and there has been so many times even in the past 5 years that a new technology completely revolutionized / changes the way we do things. 항상 새로운 기술을 읽어보려고 하고, 업무를 하는데 있어 “최선의” 방식이 무엇인지 열린 마음으로 찾아보려 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업계이기 때문에 지난 5년만 돌아보더라도 새로운 기술이 대변혁을 일으키거나, 우리가 업무 하는 방식을 통째로 바꾸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can be very stressful at times, but it can also be extremely rewarding to see the features that you work so hard to develop be enjoyed by users.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의 삶은 종종 스트레스가 될 수 있겠지만, 내가 열심히 개발한 기능을 유저들이 잘 사용하는 걸 보면 그만한 보상도 없는 직업입니다.